720과 1080은 프레임의 픽셀 수를 의미한다는 것은 지난 포스팅에서 다뤘습니다. 오늘은 숫자 뒤에 있는 p가 무슨 의미인지 알아보겠습니다.
1. 순차주사란? (Progressive Scan)
숫자 뒤에 붙은 p는 progressive scan, 즉 순차주사 방식을 사용한다는 뜻입니다. 순차주사는 각 픽셀의 왼쪽 위부터 오른쪽 아래까지 차례대로 주사한다는 뜻입니다. 여기서 주사(scan)란 '영상 정보를 모니터에 출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2. 비월주사란? (Interlaced Scan)
비월주사는 이미지의 홀수 라인과 짝수 라인을 교차하여 주사하는 방식입니다. 비월주사 방식에는 720i 및 1080i와 같이 세로 픽셀 수 옆에 i를 붙입니다. i는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interlaced scan의 약자입니다. 그런데 1080i 규격은 좀처럼 찾아보기 힘듭니다. 왜일까요?
3. 순차주사와 비월주사의 차이점
순차주사는 왼쪽 위부터 주사를 시작하여 주사가 끝나면 한 프레임이 온전히 보여지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선명하고 Flicker가 덜합니다. 대신에 초당 전송해야 하는 데이터의 양이 많아지겠지요. 거의 모든 디지털 모니터와 고해상도 TV는 순차주사 방식을 사용합니다.
비월주사는 반대로 홀수 라인과 짝수 라인을 교대로, 빠르게 주사하여 마치 한 장의 프레임처럼 보이게 하는 기술입니다. 한 번에 전송하는 데이터의 양이 순차주사의 절반입니다. 따라서 영상 기술 초기에 데이터의 전송량을 줄이기 위해 개발한 방식입니다.
4. 대부분의 촬영이 순차주사인 이유
데이터 전송 기술의 발전과 영상 퀄리티 때문입니다. 비월주사 방식의 반쪽짜리 화면을 필드라고 부르는데 이러한 필드가 교차로 나타나는 방식에서는 영상효과, 편집, 자막 삽입 등의 이미지 합성이 어렵습니다. 아이폰의 비디오 포맷이 순차주사인 이유이기도 합니다.
아이폰의 촬영물은 콘텐츠 소비용으로 널리 사용하기 위함인데 자막과 같은 영상 효과를 사용하려면 순차주사 방식이 유리합니다. 아이폰 외에도 현재 다양한 촬영 장비는 거의 순차주사 방식만 지원하고 있습니다.
5. 정리
순차주사는 프레임 단위의 전송입니다. 영상을 한 번에 전체 프레임 단위로 그리기 때문에 화면이 매우 부드럽습니다. 프레임 간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동적인 움직임이 부드럽게 전달됩니다. 비월주사는 라인 단위의 전송입니다. 빠른 움직임에서 화면 깨짐 현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순차주사는 주로 고화질 영상이나 정적 이미지에 사용되고, 비월주사는 빠른 동영상 전송과 TV 방송에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식탐이었습니다. ^^
'IT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이폰 만드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아이폰 제조 공정) (0) | 2023.10.19 |
---|---|
아이폰 에어드랍(AirDrop)이 갑자기 안되요! (아이폰 고장, 아이폰 진단) (0) | 2023.10.19 |
아이폰 카메라 설정 4 - 픽셀? 해상도? 어떻게 설정하면 좋을까? (아이폰 카메라 셋팅, 아이폰 동영상 설정) (0) | 2023.10.17 |
아이폰 카메라 설정 3 - fps (프레임 레이트)에 대하여 알아보자! 영화같은 촬영하기 (아이폰 카메라 셋팅, 아이폰 동영상 설정) (0) | 2023.10.17 |
아이폰 카메라 설정 2 - ProRes 모드는 언제 사용하는 것인가?, 어디다 쓰는 물건인고~ (아이폰 카메라 셋팅, 아이폰 동영상 설정) (2) | 2023.1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