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 정보

아이폰 카메라 설정 1 - ‘고효율성 vs 높은 호환성’ 어떤 것을 선택해야 하는가?, 알고 쓰면 재미가 100배! (아이폰 카메라 셋팅, 아이폰 동영상 셋팅)

by 식탐 2023. 10. 16.
반응형
 
 
 

1. 서론

아이폰의 카메라 성능이 대폭 향상되면서 이제는 콘텐츠를 아이폰으로 촬영하는 크리에이터들이 많아졌습니다. 꼭 아이폰이 아니더라도 각 휴대전화 제작사가 자사 제품의 카메라 성능을 경쟁적으로 높이고 있으므로 다른 휴대전화들 또한 콘텐츠 제작용으로 손색이 없습니다. 오늘은 아이폰의 카메라 성능을 확실하게 써먹기 위해 카메라 설정 중에서도 ‘포맷’ 설정, 그리고 그중 ‘높은 호환성’을 선택해야 할지 ‘고효율성’을 선택해야 할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 '고효율성' 모드

카메라 캡처 설정에서 아래의 문구를 읽어보면 “파일 크기를 줄이려면 사진이나 비디오를 고효율성 모드에서 사용하라”고 나와 있습니다.

 

고효율성 모드는 각각 사진과 비디오에 대응되는 HEIF(High Efficiency Image Format)과 HEVC (High Efficiency Video Coding)의 포맷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H.265라고도 합니다.

 

이 포맷이 고효율성 모드로 사용되고 있는 이유는 이름과 같습니다. 즉, 높은 호환성 모드의 산출물과 비교하여 보았을 때 ‘비슷한 결과’에서 보다 작은 입력값인 파일 크기가 필요하다는 말입니다. 여기서 주의해야 할 점이 바로 ‘비슷한 결과’라는 부분입니다. 광량이 충분하거나 피사체가 밋밋한 경우라면 두 모드에서 차이점이 별로 없습니다. 아니, 없습니다. 블로그에는 jpg와 jfif 포맷으로만 업로드되기 때문입니다.

 

고효율성 모드에서 보다 중요한 점은 이 모드에서만 HDR Video 및 4k, Cinematic, 240 fps를 지원한다는 점입니다. 고효율 모드에서 촬영한 비디오 재생 시 좌측 상단을 확인해 보면 HDR 모드로 촬영된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3. 높은 호환성 모드

높은 호환성 모드는 JPG 포맷을 사용합니다. 이 포맷은 무려 30년 전인 1992년에 개발된 포맷으로 높은 범용성을 자랑합니다. 한마디로 웬만한 하드웨어에서 모두 지원합니다. 누군가는 높은 호환성 모드에서 더 높은 선예도를 보여준다고 하는데 글쎄요. 저는 고효율성 모드의 색감이 더 좋게 보입니다. 제 개인적인 느낌일까요? 이쯤에서 그래픽 소프트웨어 전문 회사인 Adobe 공식 홈페이지에서 언급한 고효율성 모드의 HEIC 포맷의 코멘트를 보겠습니다.

“…whenever you edit and reserve a JPEG, it loses some back ground data. This can affect image quality. On the otherhand, HEICs offer a much more efficient, modern compression method than the older JPEG format. HEICs break images into significantly smaller files without affecting quality.”

“JPEG 포맷으로 편집하거나 저장할 경우 데이터 손실이 수반됩니다. 이점이 이미지 퀄리티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이죠. 반면에 HEIC 포맷은 JPEG 포맷보다 더 효율적인 최신의 압축 기술을 제공합니다. HEIC 포맷은 이미지 파일의 퀄리티에 영향을 주지 않는 방법으로 파일을 아주 작게 나눌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오히려 JPEG쪽이 파일 데이터 손실이 큽니다. 이 말인즉슨 사진을 편집하거나 가공할 때마다 JPEG포맷은 계속된 데이터 손실을 야기시킨다는 것입니다.  JPEG에서는 8bit color range릉 사용하는 반면에 HEIF에서는 16bit color range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색 표현력에 있어서 고효율성 모드가 더 뛰어납니다.

4. 결론

JPEG 포맷은 30년간 이어져 내려오고 있는 파일 포맷입니다. 지구상에 있는 거의 모든 소프트웨어와 디바이스들이 이 포맷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촬영한 콘텐츠의 공유가 많으신 분들은 이 포맷으로 전달하시면 상대방이 못 열어보는 경우는 없을 것입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저는 ‘고효율성 모드’를 추천합니다.

1. 파일 사이즈가 작은 점

2. 보다 높은 색 표현력을 제공한다는 점

3. 편집 및 가공에 있어 data loss가 없다는 점

4. cinematic, HDR 및 high fps 촬영을 제공한다는 점

 

위와 더불어 현재 거의 모든 플랫폼에서 HEIF 포맷을 지원하고 있고 앞으로 저변이 더 확장될 것이므로 JPEG의 범용성의 이점도 사실 희석될 것입니다.

 

당신의 아이폰 포맷은 무엇으로 설정되어 있나요?

지금 당장 휴대폰을 꺼내 어떤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 살펴보세요.

 

이상 식탐이었습니다.

반응형